로컬 저장소 사용을 위한 git 기본 2 지난 시간 배운 것을 토대로 실습핵심은 Git커맨드 라인 명령어 .따라서 그후 자신의 IDE를 찾아읽으면 된다 .커맨드 라인 혹은 어떤 IDE든 간에 순서는 같을 테니 걱정하지말라 .1 저장소 생성 2 저장소에 hellow World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작성 및 추가 3 커밋 4 hotfix 브랜치 생성 및 이동 5 프로그램 수정 6 커밋7 master 브랜치에 병합 8 master 브랜치에변경점 하나 추가9 커밋 10 hotfix브랜드에 변경점 하나 추가 11 커밋 12 master와 hotfix브랜치 사이에 영향이 없음을 확인13 불필요한 프로젝트 파일을 관리 대상에서 제외하기14충돌 해결하기 15 기록보기(커밋은 언제든지 하는 것이 좋다) ◎git init:저장소 생성1. git bash 실행 no.. git 6년 전
로컬 저장소 사용을 위한 git 기본 1 제가 알고 있는 git에 기능을 한번씩 사용할 수있는 가상의 시나리오로 진행해보겠습니다 .-로컬 저장소 생성 -저장소에 파일 생성및 추가 -추가된 파일의 수정-기본(master) 브랜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브랜치 생성-브랜치 방향-충돌해결-저장소 기록 보기 목표 프로그램 만들고 해당프로그램을 수정할 이이 생기는 상황에서 기존에 있던 코드에 영향이 가지 않게 작업하는 것 저장소 생성은 최초의 한 번만 수행하면 되고그 후 아래 그림 처럼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알아야 할 명령어와 명령어느 아래표(1)와 같습니다 (1)-저장소 사용에 필요한 git기본 명령어목표 명령어 설명 저장소 생성 git init 실행한 위치를 git 저장소로 초기화합니다 저장소에 파일 추가 git add파일이름 해당 파일을 git이 추.. git 6년 전